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책 리뷰] 일본이 선진국에서 탈락하는 날 - 일본경제의 현실

by 이웃집개미 2022. 12. 15.

안녕하세요. 이웃집 개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본경제를 다룬 책 리뷰를 해보겠습니다.

2022년 6월에 출간된 노구치 유키오 교수의 '일본이 선진국에서 탈락하는 날'입니다.

 

 

 

 

일본경제의 현주소를 다루는 책

 

 

 

'일본이 선진국에서 탈락하는 날'은 일본 경제의 문제를 짚어보고, 경각심을 촉구하기 위해 쓰여진 책입니다.

일본 경제학자의 눈으로 본 일본경제에 대한 한탄과 탄식이 고스란히 담겨있는데요.

책 내용을 다루기에 앞서, 일본의 과거와 현재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일본의 과거와 현재

 

1990년대 중반까지 일본의 위상은 대단했었습니다.

근면성실한 국민성, 최고의 기술력으로 세계의 찬사를 받았었습니다.

1979년에 출간된 'Japan as No.1 Lessons for America'라는 책은 당시 일본경제의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과거 미국도 일본을 배우자고 했을 정도였다.

 

 

 

그러나, 지금 현재 일본은 30년간 장기 경기침체를 겪으며, 사회 전체가 무기력증에 빠져있습니다.

아날로그식 행정과 오르지 않는 임금과 물가는 일본경제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1인당 GDP는 어느덧 한국에게 따라잡히고 있고, 니케이 지수는 30년 넘게 고점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1인당 GDP는 90년대 한때 미국보다 높았지만, 현재 한국에게 따라잡히고 있다.

 

 

 

30년 넘게 전고점을 넘지 못하고 있는 Nikkei 지수

 

 

 


장기침체의 원인

 

일본은 아베노믹스로 대표되는 엔저 정책을 10년 넘게 유지하고 있는데요.

자국 통화가치가 내려갈 경우, 수출기업은 손쉽게 매출이 늘어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수입가격은 올라가고 일반 국민들은 더 가난해지죠

 

저자는 각 산업을 '성장견인형', '독점고임금형', '가난성장형', '저성장저임금형'으로 분류하는데요.

일본의 성장률이 높은 산업은 IT기업같은 성장견인형이 아니라 의료 및 복지 같은 가난성장형이라고 지적합니다.

일본 기업들이 손쉬운 엔저에 의존하고 기술혁신을 이루지 못해 고부가가치 산업을 발전시키지 못한 것입니다.

 

저자는 영업이익을 '부가가치'라고 정의하는데, 임직원 1인당 부가가치는 애플이 도요타의 8배라고 말합니다.

부가가치가 낮은 산업이 일본 경제를 이끌다 보니 임금이 오르지 않고, 소비가 늘어나지 못합니다.

소비자 늘어나지 못하니 물가는 오르지 않고, 경제는 침체되어 장기 디플레이션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죠.

 

 

 

일본의 평균 임금은 한국보다도 낮은 수준이며, OECD 평균보다도 한참 낮다. (출처: OECD)

 

 

 

일본 정치인들은 물가가 오르면 임금이 오른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는 인과관계가 잘못된 것입니다.

임금이 올라야 물가가 오르고 경제가 활성화되며, 고부가가치 산업만이 경제전반의 임금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특히 저자는 미국의 금융업과 일본의 금융업을 비교하는데요.

미국에서 금융업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고임금 산업입니다.

반면, 일본은 진입장벽으로 인해 높은 임금이 형성되어 있을 뿐, 업무행태는 몇십년전과 다를 바 없다고 지적합니다.

 

저자는 일본경제의 성장 가정에 대해서도 너무 낙관적이라며 조목조목 비판을 하는데요.

책 목차를 아래와 같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독서를 고민 중인 분들은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1장 믿기 힘들 정도로 가난해진 일본

제2장 ‘엔저라는 마약’에 취해 개혁은 뒷전

제3장 ‘저렴한 일본’을 이해하기 위한 경제지표

제4장 임금이 상승하지 않는 것은 물가가 상승하지 않기 때문

제5장 일본이 침체한 원인을 미국을 통해 배운다

제6장 디지털화에 뒤처진 일본

제7장 일본을 망가뜨린 엔저 20년사

제8장 일본은 1% 성장을 할 수 있을까

제9장 고령화 정점에 맞선다-2040년 문제의 심각성

제10장 미래를 향해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한국경제는 지난 몇십년간 꾸준히 발전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여러가지 면에서 일본 경제를 따라가는 것은 아닐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많습니다.

특히, 저출산과 이로 인한 인구구조의 극적인 변화는 한국경제의 활력을 빠르게 떨어트릴 것으로 보이는데요.

 

본 책에서는 일본의 연금제도의 문제와 한계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습니다.

초고령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공부해야 되는 대목입니다.

미리 준비하지 않는다면, 일본 경제에 대한 탄식은 곧 한국에게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