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의 기초/기술적 지표

Efficiency Ratio - 시장 추세정도 파악

by 이웃집개미 2023. 1. 16.

시장의 추세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면, 어떤 전략을 구사할지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를 도와주는 지표가 있는데요.

'Efficiency Ratio'입니다.

 

시장에는 크게 두 가지 전략이 있다고 했습니다.

추세추종과 평균회귀전략입니다.

그렇다면 현재 시장에 어떤 전략이 더 잘 통하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Efficiency Ratio'를 통해 시장의 추세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Efficiency Ratio란?

 

Efficiency Ratio는 말 그대로 효율성 정도를 의미합니다.

시장이 한 지점에서 다른 한 지점으로 움직이는데, 등락을 많이 한다면 우리는 이를 '노이즈'라고 합니다.

노이즈가 적으면, 등락을 적게 하면서 이동하므로 더 '효율적'으로 움직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코스피가 지난 10일 동안 매일 100포인트씩 이동했는데, 10일 전에 비해서 오늘 400포인트가 올랐다고 해보겠습니다.

매일 100포인트씩 이동했으므로 각 날짜별 이동폭을 모두 더하면 1,000포인트(100포인트씩 10번)입니다.

그런데, 10일 동안 움직인 폭은 400포인트이므로, 나머지 600포인트는 등락을 거듭한 것입니다.

즉, 예를 들면 차트가 아래와 같을 것입니다.

 

 

 

ER 예시 주가차트
ER 예시 주가차트

 

 

 

이 경우, Efficiency Ratio는 얼마일까요?

매일 100포인트씩 10번 1,000포인트 움직였는데, 최종적으로는 400포인트만 움직였습니다.

따라서, Efficiency Ratio는 40%(400포인트/1,000포인트)입니다.

 

기준이 되는 일 수는 조절할 수 있는데요.

단타 트레이딩이 목적이라면 조금 더 짧게, 장기 투자가 목적이라면 조금 더 길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여기서 일 수가 길어질수록 시장의 노이즈가 더 많이 포함되게 되므로 Efficiency Ratio는 떨어지게 됩니다.

 

 

 


Efficiency Ratio 활용

 

Efficiency Ratio는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서, 일 수를 10일로 했을 때, 최근 1년간 코스피의 Efficiency Ratio 평균은 약 34%입니다.

즉, 코스피는 평균적으로 10일 동안 34% 정도의 효율성을 가지고 움직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약에 지금 시점 기준으로 Efficiency Ratio가 34% 이하라면 코스피는 보합권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시장은 박스권에서 움직이다가 추세를 이루고 다시 박스권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이는데요.

Efficiency Ratio가 낮다면, 곧 추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투자 전략을 짤 수 있습니다.

 

반대로 Efficiency Ratio가 일시적으로 90% 이상으로 치솟는다면, 최근에 시장이 강한 추세를 보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평균인 34%보다 많이 높은 수준이므로, 평균회귀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단기 추세가 힘을 잃고 Efficiecny Ratio가 하락할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Effiency Ratio는 시장 간에 비교를 할 때도 사용이 가능한데요.

예를 들어서 최근 1년간 코스피의 평균 Efficiency Ratio는 34%인데, Crude Oil의 평균 Efficiency Ratio는 27%입니다.

이는, 코스피가 Crude Oil보다 최근 1년 동안 더 추세적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세추종 전략을 사용한다면 코스피가 조금 더 적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훨씬 더 노이즈가 적은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Crude Oil은 등락을 더 많이 하면서 움직였기 때문에, 평균회귀전략이 더 적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Efficiency Ratio는 개념이 직관적이고 쉬운데요.

현재 시장 추세정도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많은 HTS 시스템에서 Efficiency Ratio 지표를 자동으로 계산해서 제공하므로, 적절하게 활용해 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