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별 시장동향/주식

코스피, S&P 500, 나스닥 - 반등주춤 / CSI300, 항셍 - 반등지속

by 이웃집개미 2023. 1. 7.

안녕하세요. 이웃집 개미입니다.

 

2022년 12월말 기준 글로벌 주식 동향입니다.

 

11월에는 글로벌 주식들이 모두 반등하면서 모멘텀이 강해지는 모습을 보여줬었는데요.

12월에는 반등의 힘이 수그러드렀습니다.

12월 산타랠리 기대와는 달리, 실망스러운 연말이었습니다.

 

다만,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폐기로, 'CSI300''항셍'이 반등 모멘텀을 이어가는 모습을 보여줬는데요.

글로벌 주식 모멘텀과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조금 더 세부적으로 들여다 보겠습니다.

 

 

 


글로벌주식 모멘텀

 

한국, 미국 주가지수 모멘텀지수. 2022년 12월 모두 모멘텀이 약해졌다.

 

 

 

한국, 미국의 경우 주식들의 힘이 모두 약해졌습니다.

한국은 코스피, 코스닥 모두 11월에 잠깐 보이던 반등의 기색이 다시 사라지면서 맥을 못추고 있습니다.

한국주식 투자자들은 아직도 힘든 시간을 보내시고 계실 것 같습니다.

 

미국의 경우 나스닥의 모멘텀이 0%가 되면서, 반등의 힘이 소멸되었습니다.

다만, 다우지수의 경우, 10월 이후 다른 주식들에 비해 선방하는 모습을 보여줬는데요.

12월에 반등의 힘이 약해졌습니다만, 여전히 다른 주식에 비해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유럽, 일본, 중국 주가지수 모멘텀지수. 2022년 12월 CSI300과 항셍의 모멘텀이 조금 강해졌다.

 

 

 

유로스톡스의 경우 경기 침체 우려가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다우지수와 함께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유로스톡스 지수는 200일 선을 상향 돌파하였습니다.

경기침체 우려가 사전에 반영이 되면서 오히려 연말에 좋은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Eurostoxx ETF 차트. 200일 선을 상향돌파하면서 하락추세를 벗어났다.

 

 

 

일본 니케이 지수는 특별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올해 일본의 모멘텀 지수는 편차가 매우 큰데요.

이는, 뚜렷한 추세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박스권에 갇혀있기 때문인지라, 차트와 함께 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Nikkei 차트. 1년 내내 박스권에 갇혀있지만, 하락하는 다른 나라 주식들에 비해 선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의 CSI300과 항셍지수는 조금씩 살아나고 있습니다.

반등의 힘이 약해진 다른 나라와 달리 11월의 반등의 힘을 12월에도 이어나갔습니다.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는데요.

현재 중국의 코로나 상황이 심각한 만큼, 관련해서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글로벌 주식 상관관계

 

12개월간 한국, 미국 주가지수 상관관계. 다우의 낮은 상관관계가 눈에 띈다.

 

 

 

간단하게 표를 보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빨간색이 진할수록 비슷하게 움직이며, 파란색에 가까울수록 반대로 움직입니다.

그리고, 절대값이 0에 가까울수록 서로 상관없이 움직입니다.

 

한국과 미국의 코스피, 코스닥, S&P 500, 나스닥은 모두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다우와 유로스톡스의 상관관계가 95.4%로 매우 높습니다.

다른 주식들과 달리 두 주식이 가장 강한 반등세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12개월간 유럽, 일본, 중국 주가지수 상관관계. 니케이의 옅은 색이 눈에 띈다.

 

 

 

일본 니케이의 경우 홀로 저금리 정책을 유지하면서 다른 글로벌 주식들과 낮은 상관관계를 계속 보이고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일본이 고금리 정책으로 선회할 경우, 니케이가 갑자기 무너질수도 있다고 말씀드렸었는데요.

아래 포스팅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22.12.26 - [시장분석] - 엔 - 반등의 서막

 

엔 - 반등의 서막

안녕하세요. 이웃집 개미입니다. 일본 중앙은행이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깜짝 뉴스를 시장에 던졌습니다. 일본 10년물 국채 금리의 변동폭을 기존의 ±0.25%에서 ±0.50%로 높인 것입니다. 이로 인해

nant.tistory.com

 

 

 

CSI 300 역시 홍콩의 항셍지수와만 상관관계가 높을 뿐, 다른 주식들과는 상관관계가 약한 편인데요.

중국 CSI 300의 낮은 상관관계가 계속 지속될지 궁금하네요.

중국의 정치,경제적인 상황과 함께 모니터링 해야할 것 같습니다.

 

 

 


월별 시장동향은 매월말 기준 자산별 12개월 모멘텀 및 상관관계를 알아봅니다.

 

* 모멘텀: 이번달 가격이 각 1,2…11,12개월 전 가격대비 높은지 산정하여, 해당하는 월의 개수를 백분율로 표기

(예: 이번달 가격이 1개월전, 2개월전, 5개월전 가격 대비 높음 = 3/12 = 25%)

 

* 상관관계: 1에 가까울수록 강한 양의 상관관계, -1에 가까울수록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임.

(단, 절대값이 0에 가까우면, 상관관계가 낮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