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책 리뷰] 역행자 - 성공을 위한 마인드 셋팅

by 이웃집개미 2023. 1. 4.

안녕하세요. 이웃집 개미입니다.

 

자수성가한 사람의 성공 스토리를 읽는 것은 매번 즐거움을 주는 것 같은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젊은 나이에 여러 사업을 통해 경제적 자유를 이룬 분의 책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자청이라는 분이 쓰신 '역행자'라는 책입니다.

 

 

 

삶의 공략집을 깨닫고 자수성가한 사람의 책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태어나서 흘러가는대로 자신의 삶을 사는 평범한 '순리자'입니다.

그러나, 일부의 사람들은 정해진 운명을 거스르고 인생의 자유를 얻게 됩니다.

저자는 이들을 '역행자'라고 부릅니다.

 

저자는 자신이 20대 초반까지 패배감에 젖어있는 특별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소개하는데요.

어느 순간 게임처럼 인생도 '공략집'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고 결국 경제적 자유를 이루게 됩니다.

이 책은 이런 저자가 자신을 성공으로 이끈 삶의 태도와 철학들에 대해 알려주는 책입니다.

 

 

 


역행자 7단계

 

저가가 이야기하는 역행자가 되는 길은 총 7단계입니다.

 

 

 

1단계. 자의식 해체

2단계. 정체성 만들기

3단계. 유전자 오작동

4단계. 뇌 자동화

5단계. 역행자의 지식

6단계. 경제적 자유를 얻는 구체적 루트

7단계. 역행자의 쳇바퀴

 

 

 

역행자가 되기 위해서 저자가 이야기하는 가장 중요한 첫번째 단계는 자의식 해체입니다.

우리는 모두 스스로 자기자신한테 후한 점수를 주는데요.

자의식 해체라는 것은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먼저, 자의식이 해체가 되면, 본인의 틀을 깨버리고 자신이 되고자 하는 모습으로 자신을 설정(정체성 만들기)해야 합니다.

그리고 나의 심리는 원시시대에서 비롯되었으며, 현대사회에서 나의 발전을 막는 것임을 자각(유전자 오작동)해야 합니다.

그 다음에는 책을 읽고 글을 쓰면서 나의 뇌를 최적화(뇌 자동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자는 한 분야의 상위 0.1%에 들어가는 것보다 여러 분야의 상위 20%에 들어가는 것을 추천하는데요.

이전에 'FIRE'라는 책을 리뷰하면서 같은 이야기를 말씀드린 적 있습니다.

성공한 사람들의 책을 읽으면, 이렇게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점들이 눈에 띄는 것 같습니다.

2022.12.28 - [책 리뷰] - [책 리뷰] FIRE(파이어) (★★★☆☆)

 

[책 리뷰] FIRE(파이어) (★★★☆☆)

안녕하세요. 이웃집 개미입니다. 요즘 'FIRE'라는 단어가 화두인 것 같습니다. FIRE는 경제적으로 독립하여, 일찍 은퇴하는 것을 일컫는데요. 특히, 작년까지 주식, 가상화폐 등 자산가격이 폭등하

nant.tistory.com

 

 

 

그렇다면 결과적으로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돈을 버는 방법은 다른 사람을 편하게 해주거나, 행복하게 해주는 것 두가지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부자가 되는 방법은 사업 또는 투자 두가지 중 하나입니다.

 

저자는 직장인 그룹, 무스펙 그룹, 전문직 그룹, 사업자 그룹으로 나뉘어서 구체적인 루트 설계를 해줍니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네 가지 유형중에 한가지일텐데요.

각자의 사정이 모두 다 다르기 때문에, 책에 등장하는 사례들은 참고하면서 편하게 읽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책의 처음부터 끝까지 저자가 엄청나게 강조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독서' 입니다.

저자는 자기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메타인지를 높이는 방법 2가지도 '독서' '실행력'이라고 조언합니다.

그리고 경제적 자유를 얻은 이들도 '타고나는 유형', '주말세미나형', 혹은 '독서형' 중 하나라고 강조하는데요.

역행자가 되고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위해서 독서는 필수불가결한 것 같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저자의 자신감과 강인한 말투가 인상적이었는데요.

책의 마지막 부분에는 저자가 인상깊게 읽은 책들 목록도 있습니다.

저자가 독서를 강조하는 만큼, 목록에 있는 책들도 한번씩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