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웃집 개미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손익비에 다루면서 얼핏 평균회귀와 추세추종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2022.12.04 - [투자의 기초] - 손익비의 이해 - 이익실현의 기준
손익비의 이해 - 이익실현의 기준
안녕하세요. 이웃집 개미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리스크 관리와 이를 활용한 투자금액 산정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2022.12.01 - [투자의 기본] - 리스크관리 활용 - 투자금액 산정 '얼마만큼 손
nant.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왜 평균회귀와 추세추종 전략이 유효한지 시장의 특징을 살피면서 알아해보겠습니다.
정규분포
인간과 자연에서 발생하는 많은 일들이 정규분포를 이룬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정규분포는 옛날 고등학교 수학책에서 본 기억이 어림풋이 나실 겁니다.
벌써부터 머리가 지끈거리지만, 간단하게 핵심 개념만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평균에서 ±1표준편차 안에 표본이 속할 확률 약 68%,
평균에서 ±2표준편차 안에 표본이 속할 확률 약 95%,
평균에서 ±3표준편차 안에 표본이 속할 확률 약 99%
시장이 이렇게만 움직인다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표준편차랑 평균을 구하면, 가격이 특정범위 내에서 움직일 확률을 알 수 있으니깐요.
그런데 아쉽게도, 시장은 조금 다르게 움직입니다.
시장그래프
대표적인 주식시장인 미국 S&P 500 그래프를 살펴보겠습니다.
정규분포 그래프와 조금 다른 점이 눈에 보이시나요?
그래프의 양 꼬리가 정규분포 그래프보다 훨씬 깁니다.
이는 왜 이럴까요?
시장에 인간의 심리가 반영되기 때문입니다.
그래프 양쪽의 긴 꼬리부분은 인간의 공포와 탐욕을 보여줍니다.
일정수준 이상으로 가격이 하락할 때, 모두가 공포에 질려서 투매를 하면서 가격이 더 하락합니다.
그리고, 일정수준 이상 가격이 상승할 때, 모두가 탐욕에 젖어서 더욱 매수를 하려고 하죠.
주식, 원자재, 에너지, 가상화폐, 부동산 등 거의 모든 시장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공포와 탐욕은 한가지 중요한 투자 전략을 만들어냅니다.
바로, 추세추종입니다.
가격이 계속 상승 혹은 하락할때, 그 추세를 계속 따라가면서 큰 수익을 거두는 전략이지요.
그런데, 또 한가지 특징이 또 눈에 띕니다.
양 끝단도 차이가 있지만, 가운데 부분도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프의 가운데 부분이 정규분포 그래프보다 더 쏟구쳐 있다는 것이 보입니다.
이는 시장의 평균회귀 특성을 보여줍니다.
가격이 살짝 내려가면, 싸다고 생각되어 바로 매수가 몰리게 됩니다.
반대로 가격이 살짝 올라가면, 비싸다고 판단되어 매도가 몰리게 되죠.
결국, 가격이 살짝 내려가거나 올라가면 평균으로 회귀할 것이라는 기대로 매수 혹은 매도가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일정수준 이상을 넘어서게 되면, 공포와 탐욕으로 하락 시 계속 매도를, 상승 시 계속 매수를 하게 되는 것이죠.
인간의 심리가 가끔은 비이성적인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단순한 그래프이지만 시장의 특성 그리고 이로 인해 파생되는 두가지 주요 전략의 의미를 보여줍니다.
인간의 심리가 반영되지 않는다면, 모든 수학자와 통계학자들은 아마 시장에서 쉽게 돈을 벌었을지도 모릅니다.
별들의 움직임을 알 수는 있어도, 인간의 광기는 알 수 없다는 뉴튼의 명언이 떠오르는 대목이네요.
위 그래프는 간단하지만, 아래 사실을 다시 한번 상기시킵니다.
투자는 과학이 아닌 예술이라는 것 말입니다.
경제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뿐만이 아니라 심리를 공부하고, 시장참여자들의 생각을 고민해야하는 이유입니다.
'투자의 기초 > 기본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p.rate - 부동산 가치 판단 지표 (0) | 2022.12.19 |
---|---|
NPV, IRR - 시간은 돈이다 (0) | 2022.12.13 |
주식 - 경제침체와 주가 (0) | 2022.12.10 |
NBER - 경제침체란 누가, 어떻게 정의내리는가 (0) | 2022.12.08 |
손익비의 이해 - 이익실현의 기준 (0) | 2022.12.04 |
댓글